전체 글 17

내 인생 최고의 인생 영화 <인터스텔라> 후기

인터스텔라1. 영화의 대략적인 줄거리지구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 우주라는 미지의 공간을 배경으로 인간의 감정과 과학이 맞부딪히는 여정을 그린 SF 대작입니다. 주인공 쿠퍼(매튜 맥커너히)는 전직 NASA 파일럿으로, 우연히 비밀 우주 탐사 계획에 참여하게 되며, 자신의 딸 머피를 지구에 남긴 채 인류의 미래를 위한 임무를 떠납니다. 우주선은 웜홀을 지나 다른 은하계의 행성을 탐사하고, 그 과정에서 중력과 시간의 개념은 뒤틀리고 예측할 수 없는 변수들이 끊임없이 등장합니다. 쿠퍼는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한편 머피는 아버지가 남긴 물리 공식을 해독하며 성숙한 과학자로 성장해갑니다. 영화는 과학적 스펙터클 속에서도 '부녀 간의 사랑'이라는 감정적 핵심을 놓치지 않고 끝까지 밀고 나갑니다..

뮤지컬 영화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라라랜드> 후기

라라랜드(La La Land)1. 영화의 대략적인 줄거리현실과 꿈 사이에서 부유하는 두 청춘의 사랑과 선택, 그리고 그에 따른 성장의 이야기를 뮤지컬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입니다. 배우를 꿈꾸는 미아(엠마 스톤)는 오디션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시며,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은 전통 재즈를 지키기 위해 자신의 음악적 신념을 고집하지만 현실과 타협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둘은 우연한 만남을 계기로 사랑에 빠지고, 서로의 꿈을 응원하며 함께 성장해갑니다. 하지만 현실은 언제나 이상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지 않습니다. 세바스찬은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 타협적인 밴드에 합류하고, 미아는 자신의 극을 올렸다가 관객이 거의 없는 현실에 부딪혀 좌절하게 됩니다. 그들은 서로를 위해 각자의 길을 가기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본 <그녀> 후기

그녀(Her)1. 영화의 대략적인 줄거리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의 감정적 연결을 깊이 있게 그려낸 감성 SF 로맨스입니다. 주인공 시어도어(호아킨 피닉스)는 사람들의 편지를 대신 써주는 감성 대필 작가로, 타인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내면은 외로움과 공허함으로 가득 찬 인물입니다. 이혼의 아픔을 겪은 그는 여전히 과거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감정을 억누르며 살아갑니다. 어느 날 그는 스스로 진화하는 인공지능 운영체제(OS) ‘사만다’를 설치하게 됩니다. 단순한 디지털 비서를 기대했던 시어도어는, 유머 감각과 감정, 자아를 지닌 듯한 사만다와 대화를 나누며 점점 그녀의 존재에 깊이 빠져들게 됩니다. 목소리로만 존재하는 사만다는 시어도어의 상처를 공감해주고, 그..

재난보다 무서운 건 인간임을 알려주는 <콘크리트 유토피아> 후기

콘크리트 유토피아 1. 줄거리서울 한복판, 대지진으로 도시 전체가 무너진다. 유일하게 멀쩡하게 남은 한 아파트에 사람들이 몰려들고, 그곳에 살던 주민들은 외부인을 쫓아내며 ‘자기들만의 질서’를 만들어간다. 주민 대표 영탁을 중심으로 점점 체계가 생기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공동체는 본래의 모습을 잃어간다. 2. 인상 깊은 점무너진 건 아파트가 아니라 인간이었다 영화는 재난 상황을 다루지만, 실제로 그보다 더 무서운 건 인간의 본성이다. 생존을 핑계로 쌓이는 혐오, 배제, 권력의 오만. 재난보다 먼저 무너지는 건 공동체였고, 그 안에서 사람들은 점점 서로를 의심하기 시작한다. 이야기가 끝날 즈음엔, 누가 피해자이고 누가 가해자인지도 불분명해진다. 이병헌이라는 존재감영탁은 겉으로는 이웃을 챙기는 ‘좋은 사..

웃고 울고 생각하게 만드는 <드림> 후기

드림(Dream)1. 줄거리축구선수로서 위기를 맞은 윤홍대는, 사회봉사 명목으로 홈리스 축구팀을 맡게 된다. 기록을 찍으려는 다큐 감독 소민과 함께, 축구라고는 해본 적도 없는 이들과 ‘홈리스 월드컵’을 준비하게 되면서 뜻밖의 여정을 시작한다. 처음엔 서로를 믿지 못했던 사람들이 서서히 하나의 팀이 되어가는 과정을 담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다. 2. 인상 깊은 점웃음 뒤에 숨어 있는 진심영화는 처음엔 가볍고 유쾌하다. 박서준과 아이유의 톤이 잘 맞고, 대사 하나하나가 꽤 센스 있다. 그런데 그 웃음이 오래갈수록, 그 안에 숨은 이야기들이 조금씩 드러난다. 인물들의 과거가 하나씩 밝혀질 때마다 분위기는 바뀌고, 어느새 감정이 깊어진다. 스포츠가 아니라 사람의 이야기이 영화는 승부가 중심이 아니다..

분위기로 압도한 심리 스릴러 <파묘> 후기

파묘1. 줄거리‘파묘’는 무속과 심리극의 경계에 있는 미스터리 스릴러다. 귀신, 괴물, 점프 스케어 같은 뻔한 공포 장치는 없다. 하지만 한 발씩 깊이 들어갈수록 마음이 점점 서늘해진다. 조용하고 고요하지만, 오히려 그 침묵이 더 큰 불안을 만들어낸다. 2. 특이한 요소‘무섭게 만드는’ 방식이 다르다공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느끼게’ 만든다. 빛이 닿지 않는 장소, 고요한 시선, 날카로운 침묵 같은 연출이 극도로 불안을 유도한다. 자극적이지 않지만, 오래 기억에 남는 무드. 진짜 공포는 사람에게 있다캐릭터들의 표정, 말투, 눈빛이 전부 낯설고 불편하다. 누가 진실을 말하는지, 무엇이 사실인지 끝까지 알 수 없다. 귀신보다 무서운 건 결국 인간의 얼굴이라는 걸 보여준다. 공간이 주는 심리적 압박..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인사이드 아웃 2> 후기

인사이드 아웃 2 (INSIDE OUT 2)1. 줄거리사춘기를 맞은 라일리의 머릿속, 감정 본부는 다시 한번 소란스러워진다. 1편에서 활약했던 기쁨, 슬픔, 분노, 까칠이, 소심이에 이어, 이번엔 새로운 감정들이 등장한다. ‘불안’, ‘부끄러움’, ‘부러움’, ‘권위감’이라는 이름의 낯선 감정들이 라일리의 세계에 뛰어든다. 이제 단순한 감정 싸움이 아니라, 사춘기라는 거대한 전환기에 겪는 혼란과 성장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2. 특이한 요소감정이 늘어난다는 것의 의미단순히 캐릭터 수가 많아졌다는 게 아니다. 마음이 훨씬 더 복잡해지고 미묘해졌다는 뜻이다. 각 감정이 단지 기쁨·슬픔처럼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고, 서로 충돌하거나 겹치는 모습이 현실적이다. 시각적 장치의 진화감정 본부, 기억 저장소..